현대 사주명리학

절기 - 첫번째 계절 봄 (2월, 3월, 4월)

mirachstory 2020. 12. 23. 12:46

1년 12개월은 12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2지지를 해석할 때 열두달의 계절의 특성을 읽어내는 것이 사주명리학해석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각각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월은 축(),

2월은 인(),

3월은 묘(),

4월은 진(),

5월은 사(),

6월은 오(),

7월은 미(),

8월은 신(),

9월은 유(),

10월은 술(),

11월은 해(),

12월은 자() 가 됩니다.

 

 

태양주위를 지구가 공전을 하는데, 한번 공전을 하는 것을 1년이라고 하고, 1년을 정확하게 24개로 나눈것이 24절기 입니다.

 

또는 1년을 12개로 나누면 12절기가 됩니다. 사주명리학에서는 12절기가 시작하는 날을 기준으로 지난달과 이번달을 구분하게 됩니다. 

 

가령 이달은 2020년 12월인데, 이달의 시작일은 12월 1일이 아니고, 이달 첫번째 절기일 12월 7일 대설(大雪)이 이달의 시작일이 되는 것입니다. 

 

사주명리학의 가장 큰 오해중 하나는 사주명리학이 음력으로 보는 걸로 아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주명리학은 모두 양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절기는 태양주위를 지구가 공전을 하는 원리에서 나온 것으로 태양력 즉, 양력을 사용합니다.

 

워낙 오래된 학문이고, 예전에는 음력을 사용했으니까 당연히 사주명리학도 음력을 사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자리를 잡은 것 같습니다. 

 

입춘(立春) : 해마다 양력 2월 4일 또는 5일경 (해마다 날이 바뀔 수 있습니다 해마다 만세력에서 확인)

입춘 : 출처 네이버이미지

사주명리학에서는 입춘이 되는 날 새해가 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올해(2020년)는 2 4일이 새해가 입니다

 

올해가 경자(庚子)년인데 ‘쥐띠의 해’ 입니다. 띠를 볼 때 언제부터 쥐띠냐를 논하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여러가지 주장하는 내용이 있지만,

 

어쨌든 사주명리학에서는 24일부터 '쥐띠'가 되고, 23일에 태어난 아이는 '돼지띠'가 됩니다.

 

사주를 상담하다 보면 양력생일이 2 4일 전후에 태어난 사람은 자신이 평생 알고 있던 띠가 이런 이유 때문에 바뀌는 경우가 간혹 생겨나게 됩니다.

 

명리학에서 말하는 띠 구분이 반드시 맞다고 주장할 필요는 없어 보이지만, 사주를 볼 때는 사주명리학 원리대로 입춘을 전후로 적용을 해야 겠습니다.

 

입춘은 12지지로는 인()월 입니다. ()의 성격을 말 할 때 인()은 호랑이라서 진취적이고 적극적이며 활동적이라고 말하고, 계절을 살펴보면 입춘은 본격적인 봄의 시작을 말합니다.

 

겨울동안 꽁꽁 얼어 붙어있었던 만물이 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봄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겨울에 더 가깝고 추위는 아직 강합니다. 그러나 햇빛은 밝아지고 강해집니다

 

()이라는 글자는 새로운 희망,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고,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글자로, 황동성을 의미하는 역마(驛馬)의 글자에도 해당이 됩니다. 

 

사주에 인()이라는 글자가 있거나,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 이런 성격적 특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미래지향적이고, 희망적이고, 뭔가 순수하면서도 때가 묻지 않은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마다 입춘일에는 좋은 일,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라고 기원하는 뜻에서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글자를 써 붙이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이런 풍습을 이어가는 곳이 많습니다..

 

2월 중순경 양력 2 18일 또는 2 19일경 우수(雨水)가 있습니다. 봄비가 내리고 싹이 트기 시작합니다.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입니다.

 

아직은 꽃샘추위가 있고 얼음이 녹기 시작합니다. 우수 마지막 5일부터는 초목에 싹이 틉니다. 우수가 되면 만물에 드디어 생기가 돌기 시작합니다. 새 희망이 생겨나고 밝아지고 모든 것이 긍정적으로 바뀝니다.

 

()이라는 글자를 살필 때는 호랑이라는 동물을 생각하기 전에 이런 식으로 입춘과 우수의 계절을 먼저 생각합니다. 

 

 

경칩(驚蟄) : 양력 3 5일 또는 6.

경칩 : 출처 네이버이미지 

3월은 묘()월입니다.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입니다.

 

()월과 다른점은 인()월은 추위가 강하지만, ()월은 대륙성 고기압이 약화되면서 춥고 따뜻한 한난(寒暖)이 반복됩니다.

 

보통 묘()라는 글자의 특징을 말 할 때 토끼라는 동물은 꾀가 많고, 두마음을 품은 이중적 인격이고, 순간판단이 빠르고, 약삽하다고 하는데 우화나 설화에서 나오는 토끼를 보면 과연 토끼가 그런 성격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계절을 살펴봐야 하는데 묘()월은 추위와 따뜻함이 반복되는 계절입니다.

 

()월은 이렇게 이중적인 계절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기온이 따뜻해지는 시기입니다

 

3월 20일 또는 21일경 춘분(春分)이 있습니다. 춘분을 기점으로 그 동안은 밤의 길이가 낮의 길이보다 길었는데, 이제는 낮의 길이기 더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춘분날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습니다. ()월의 절정입니다.

 

밤낮의 길이가 같은 묘()월의 정점인 춘분은 묘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데, ()라는 글자서 서로 등을 지고 있는 모습으로 밤과 낮이 서로 등을 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청명(淸明) : 양력 4 4일 또는 5.

 

청명 : 출처 네이버이미지

하늘이 차츰 맑아지는 시기라는 뜻의 청명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습니다.

 

날씨가 좋으니 예전에는 청명날에 농사일을 준비하고 시작하는 시기였고, 요즘은 꽃놀이에 꽃구경 하기 좋은 날씨입니다.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ㅜㅜ)

 

4월은 진()월입니다. 동물로는 용인데, 동물로서의 용이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진()의 성향을 말할 때는 변화가 무쌍하고 자존심이 강하고 이상이 높다고 하는데, 계절을 살펴보면 4월의 날씨는 변덕스럽습니다.

 

맑은 하늘에 갑자기 날벼락이 치기도 하고, 미동도 없던 바람이 갑자기 불어 강풍이 되기도 합니다. 따뜻했다가 갑자기 추워기도 합니다. 날씨는 변화무쌍하고 급작스럽습니다.

 

4월 20일 또는 21일경 6번째 절기일인 곡우(穀雨)입니다.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하는 계절로 모든 곡물이 잠을 깨는 시기입니다. 곡우에 비가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월의 절정입니다.

 

이렇게 2(), 3(), 4(),이 봄()의 계절입니다.

 

, , 이라는 세 글자는 봄의 기운이고 서로 이어져서 합을 이룹니다.(방합), 합이라는 것은 뒤에 다시 설명드리겠지만, 성질이 같은 것을 말합니다. 성질이 같기 때문에 서로 친화가 잘 됩니다

 

인(寅)은 봄의 시작이고, 묘(卯)는 봄의 절정이며, 진()은 봄의 끝입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