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합 세번째 - 육합
방합과 삼합과는 달리 六合(육합)은 지지에서 두 개의 글자로 합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육합은 그 원리에 대한 설명이 뚜렸하지 않고 의견이 분분하다보니, 육합의 무용론까지 나오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실전 사례에서 육합의 작용력이 확인되고 있으니 육합을 부인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육합은 열두개의 지지가 각각 서로 짝이 되어 6개의 조합이 되는 것인데 육합의 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먼저 子(자)와 丑(축), 午(오)와 未(미) 사이에 선을 긋고 반을 접으면 서로 마주보는 관계가 육합이 됩니다.
육합은 가장 춥고 어두우며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동지 子(자)와 가장 뜨겁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하지 午(오)에 子午沖(자오충)관계를 살짝 피해 선을 연결하여 서로 마주보는 글자의 관계를 합으로 보는 것입니다.
子丑合化土(자축합화토) 또는 子丑合土(자축합토) : 子(자)와 丑(축)이 만나 土(토)가 됩니다.
寅亥合化木(인해합화목)또는 寅亥合木(인해합목) : 寅(인)과 亥(해)가 만나 木(목)이 됩니다.
※ 寅(인)과 亥(해)는 뒤에 설명할 破(파)의관계도 있습니다. 寅亥合破(인해합파)
卯戌合化火(묘술합화화)또는 卯戌合火(묘술합화) : 卯(묘)와 戌(술)이 만나 火(화)가 됩니다.
辰酉合化金(진유합화금)또는 辰酉合金(진유합금) : 辰과 酉가 만나 金이 됩니다.
巳申合化水(사신합화수) 또는 巳申合水(사신합수) : 巳(사)와 申(신)이 만나 水(수)가 됩니다.
※ 巳(사)와 申(신)은 합도 되지만 뒤에 설명할 刑(형)과破(파)도 됩니다. 巳申合刑破(사신합형파)
午未合化火(오미합화화)또는 午未合火(오미합화) : 午(오)와 未(미)가 만나 火(화)가 됩니다.
육합에서 합이되어 오행이 변하는 이치는 지지의 지장간을 통해 완벽하지는 않지만 연역적으로 이해할 수는 있습니다.
(지장간을 통한 합의 원리는 억지로 끼워맞춘 느낌이 있습니다)
1) 子丑合土(자축합토) : 子(자)지장간에 壬(임)과 癸(계), 丑(축)지장간에 癸(계),辛(신),己(기)가 있습니다.
水(수)는 己(기)로 인해 흙탕물이 되었고, 辛(신) 은 녹이 슬었습니다. 결국 흙탕물土(토)만 남게 됩니다.
2) 寅亥合木(인해합목) : 寅(인)지장간에 戊(무),丙(병),甲(갑), 亥(해)지장간에 戊(무),甲(갑),壬(임)이 있습니다.
丙(병)은 壬(임)에 의해 극을 당하고 戊(무)는 甲(갑)에 의해 극을 당해 甲(갑) 木(목)만 남게 됩니다.
3) 卯戌合火(묘술합화) : 卯(묘)지장간에 甲(갑),乙(을), 戌(술)지장간에 丁(정),辛(신),戊(무)가 있습니다.
甲(갑)과乙(을)이 丁(정)에 의해 불에타고 辛(신)은 녹습니다. 戊(무)도 조토가 되어 火(화)만 남습니다.
4)辰酉合金(진유합금) : 酉(유)지장간에 庚(경),辛(신), 辰(진)지장간에 乙(을),癸(계),戊(무)가 있습니다.
戊(무)는 庚(경),辛(신)을 생하고 죽고, 乙(을)은 극을 당해 죽고, 癸(계)는 庚(경),辛(신)에 갇혀 金(금)만 남습니다.
5) 巳申合水(사신합수) : 巳(사)지장간에 戊(무),庚(경),丙(병), 申(신) 지장간에 戊(무),壬(임),庚(경)이 있습니다.
丙(병)은 壬(임)에 극을 당하고 戊(무)는 힘을 쓰지 못하고, 庚(경)은 水(수)에 가라앉아 壬水(임수)만 남습니다.
6) 午未合火(오미합화) : 午(오)지장간에 丙(병),己(기),丁(정), 未(미)지장간에 丁(정),乙(을),己(기)가 있습니다.
己(기)와 乙(을)이 모두 타버려 火(화)만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