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주명리학

십이운성

mirachstory 2021. 3. 21. 11:25

자연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듯이 사람의 일생을, 태어나서 성장하고 병들어 죽는 과정을 열 두가지로 순서대로 구분한 것 입니다.

 

십이운성은 당나라 시기 불교의 12인연법(12연기법)의 영향을 받아 생겨난 이론으로 참고만 할 뿐 실용가치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고,

 

십이운성의 비중을 절대적으로 반영해서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의 생각에는 십이운성을 무시할 정도로 쓸모없는 이론이라는 것에는 동의하기는 어렵고, 그렇다고 십이운성만으로 해석하는 것도 무리가 있습니다. 절대적인 이론은 아니지만, 높은 신뢰도가 있습니다.  

 

십이운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長生(장생), 沐浴(목욕), 冠帶(관대), 乾錄(건록), 帝旺(제왕), 衰(쇠), 病(병), 死(사), 墓(묘), 絶(절), 胎(태), 養(양)

 

 

힘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하는데, 힘이 강하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닙니다. 

 

四旺地(사왕지) : 장생, 관대, 건록, 제왕

 

四平地(사평지) : , , 목욕, 

 

四衰地(사쇠지) : , , ,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장쟁, 관대, 건록, 제왕이 운의 작용이 강하다 보니 좋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십이운성을 보는 방법은 다음 조견표에 따라 천간에 따라 각각 정해진 지지에 따라 보게 됩니다.

 

천 간 丙 戊 丁 己
長生(장생)
沐浴(목욕)
冠帶(관대)
建祿(건록)
帝王(제왕)
衰(쇠)
病(병)
死(사)
墓(묘)
絶(절)
胎(태)
養(양)

<십이운성 조견표>

 

예를 들어 천간 가 장생이 됩니다. 는 목욕, 은 관대… 이렇게 순서대로 천간과 지지를 조합하여 십이운성을 구분합니다.

 

12운성을 외울 때는 양간은 지지가 순서대로 순행하고, 음간은 지지가 반대로 역행합니다. 

 

주로 일간을 기준으로 일지 중심으로 십이운성을 보지만, 각각의 지지를 대입해서 십이운성을 보기도 합니다.

 

특히 대세운에서 운을 판단할 때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