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주명리학
삼기귀인
mirachstory
2021. 5. 20. 15:33
三奇貴人(삼기귀인)은 天上三奇(천상삼기), 人中三奇(인중삼기), 地下三奇(지하삼기)로 세가지가 있습니다.
명리학은 하늘과 사람, 땅의 이치를 설명하는 학문으로 天地人(천지인)의 사상이 있습니다.
사주원국에서 삼기귀인이 있는 경우 총명한 수재이며, 학문에 발전이 있고, 인덕이 있으며 복이 많다고 합니다.
삼기귀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천상삼기 : 庚戊甲
2) 인중삼기 : 丁丙乙
3) 지하삼기 : 癸壬辛
삼기귀인이 성립되려면 천간에서 각각 세개의 글자가 순서대로 있어야 합니다.
순서가 바뀌어서도 안되고, 떨어져 있어도 안됩니다.
지지에서 12운성으로 사, 묘, 절이 있으면 작용력은 떨어집니다.
삼기귀인이 용신일 경우에는 좋습니다. (용신의 설명은 뒤에서)
전체 사주원국에서 너무 균형을 잃어버리거나, 힘이 너무 약하면 작용력이 없습니다.
참고로 神(신-길성)이 중요하냐 사주원국이 중요하냐 할 때, 당연히 사주원국이 더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길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주 원국이 균형을 잃거나 문제가 많으면 길성은 그 사주원국만큼의 범위 안에서만 좋게 작용합니다.
사주원국이 좋지 않은데 아무리 길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 사람이 평생 부귀영화를 누리고 장수하며 잘 살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