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사,오,해,자 체용과 지장간

사주명리학에서 60갑자의 생성원리는 10천간과 12지지의 조합으로 만들어 집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천간의 양은 지지의 양과 짝을 이루고 천간의 음은 지지의 음과 짝을 이루게 됩니다. 

 

이때 지지의 巳火(사화)는 음, 午火(오화)는 양, 子水(자수)는 양, 亥水(해수)는 음이 됩니다. 

 

하지만 사,오,해,자는 해석을 할 때 반대로 해석합니다. 

 

巳火(사화)는 음이지만 해석은 양.

 

午火(오화)는 양이지만 해석은 음.

 

子水(자수)는 양이지만 해석은 음.

 

亥水(해수)는 음이지만 해석은 양.  

 

이렇게 원래의 가진 성질이 사용할 때는 다르게 사용한다고 하여 이것을 체용(體用)이 다르다고 합니다. 체용은 원래의 성질과 사용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원래의 성질은 음인데, 사용은 양으로 사용하고, 원래의 성질은 양인데 사용은 음으로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동그라미 寅(인), 申(신), 巳(사), 亥(해)는 각 계절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寅(인)은 봄의 시작을 의미하며, 巳(사)는 여름의 시작을 의미하고, 申(신)은 가을의 시작, 亥(해)는 겨울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시작하는 기운은 강하고, 생동감이 넘치는 기운으로 寅(인), 申(신), 巳(사), 亥(해)는 활동성이 강하고 돌아다니는 기운이 강해서 역마살에 해당하는 글자입니다. 

 

寅(인), 申(신), 巳(사), 亥(해)는 이처럼 활동적이고 역동적인 양의 기운이 강합니다. 

 

巳(사), 亥(해)가 원래는 음인데 양으로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지장간을 살펴보면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지장간이란 천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오면서 천간의 기운이 섞이고 합쳐져서 지지가 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지지는 순수한 천간의 기운과 달리 최소 2개 이상의 기운이 섞이게 됩니다.

 

이를 표현해 놓은 것을 地藏干(지장간) 이라고 합니다. 지장간은 ‘지지에 숨어있는 천간’이란 뜻입니다

 

지장간은 보통 2~3개 이루어진 천간인데 지장간을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나눕니다.

 

여기(餘氣) 는 지난달의 오행이 천간에 남아서 작용하는 것을 말하고 중기(中氣)는 이 달의 기운이 들어오기 전의 기운이고, 정기(正氣) 는 이 달의 오행과 동일한 기운이 왕성한 천간을 말합니다.

 

지지
餘氣
中氣      
正氣

 

寅(인)의 지장간은 무(戊), 병(丙), 甲(갑)입니다.

 

申(신)의 지장간은 무(戊), 임(壬), 경(庚)입니다.

 

巳(사)의 지장간은 무(戊), 경(庚), 병(丙)입니다.

 

亥(해)의 지장간은 무(戊), 갑(甲), 임(壬)입니다.

 

寅(인), 申(신), 巳(사), 亥(해)의 지장간은 모두 양의 글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의 기운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巳(사)亥(해)는 원래는 음이지만 양으로 사용하고, 午(오)와 子(자)는 원래는 양이지만 음으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학에서 시간기준 (feat. 썸머타임)  (0) 2021.01.02
생지, 왕지, 고지  (0) 2021.01.02
십이지지의 상징과 성격  (0) 2021.01.02
십천간의 상징과 성격  (0) 2021.01.01
오행의 성격  (1) 202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