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3)
격국-내격 격국은 내격과 외격으로 구분하는데, 먼저 내격으로는 비견격(건록격), 겁재격(양인격), 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 정관격, 편인격, 정인격 이 있습니다. 내격은 월지의 '지장간'을 보고 판단하는데, 월지 '지장간'이 천간에 투간이 되어 있으면, 천간에 투간된 지장간의 십신을 격으로 판단합니다. ('투간'은 천간에 나타난다는 뜻으로 '투출'이라고도 합니다.) 지지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子(자) 丑(축) 餘氣 (여기) 戊(무) 7 甲(갑) 10 乙(을) 9 戊(무) 7 丙(병) 10 丁(정) 9 戊(무) 7 庚(경) 10 辛(신) 9 戊(무) 7 壬(임) 10 癸(계) 9 中氣 (중기) 丙(병) 7 癸(계) 3 庚(경) 7..
격국 格局(격국)이란 사주의 구조를 구분한 것으로 주로 用神(용신)을 찾을 때 많이 사용됩니다. 用神(용신)이란 사주 원국에서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글자를 용신이라고 하는데, 대세운에서 용신이 들어오면 길하기 때문에 용신을 매우 중요시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심지어 용신으로만 해석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 입니다. 하지만 격국은 꼭 용신을 찾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고, 용신을 찾는 것과는 별개로 격국을 앎으로써 한 개인의 중요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주를 해석할 때는 일주의 비중이 제일 높습니다. 일주중심으로 일주와 나머지 연, 월, 시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데, 일주와 함께 반드시 꼭 봐야 하는 것이 격국입니다. 사주 명리학은 계절을 중시하는데, 태어난 계절은 월주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개인의 특성..
계해일주 계해일주는 일지 '겁재', 십이운성 '제왕' 입니다. 대인관계에서 부드럽고 정이 많지만 내면은 치밀하고 분명합니다. 머리회전이 빠르고 순간순간의 위기를 잘 모면하지만 결국 자신의 꾀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간지지가 모두 차가운 겨울의 기운이라 외로움과 고독을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 간여지동일주로 자존심이 매우 강하고, 남에게 무시당하고 업신여김 당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성향으로 엄청난 과시욕이 있습니다. 겉으로는 속을 알기가 어렵고 머리가 좋고 총명한 사람이 많습니다. 총명함이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오히려 어리숙해 보이거나 버벅대는 것 같지만 머리속은 옷갖 계산과 설계가 돌아가고 있는 것이 계해일주 입니다. 상상과 생각의 스케일이 넓고 행동은 매우 느립니다. 게으름과 나태함을 가진 경우가 많고..
계유일주 계유일주는 일지 '편인', 십이운성 '병' 입니다. 수완이 좋고, 다재다능하며 사람들에게 보호본능을 자극합니다. 우울증과 결별증의 성향이 있습니다. 기억력과 암기력이 좋은 경우가 많고, 자기만의 재주를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특히 조금만 배워도 크게 활용할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자기 재주를 과신하여 이것저것 하다가 모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계유일주는 맑고 깨끗한 물의 기운이 의미하는데, 원국에 따라 맑은 기운이 더럽혀지면 청렴결백의 기운이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사람들의 도움과 관심을 거꾸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순수한 금의 힘은 생애를 통틀어 어느 쪽으로 터질 지 모르는 엄청난 폭발력을 가진 일주라 하여, 고전에서는 금신이라 하였습니다. (금신은 파괴와 살육을 담당하는 막강한 권력을 가진 신..
계미일주 계미일주는 일지 '편관', 십이운성 '묘' 입니다. 부드러운 성격에 따뜻한 마음씨와 타인을 이해하려는 성격으로 사람들과 다툼이 적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여 좋은 평판을 받습니다. 하지만 겉보기와 달리 마음이 급하고 과정보다는 결과를 지향하는 성향으로 사소한 일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늘 분주하고 바쁜삶을 사는데, 어떤 환경에서도 삶의 희망을 놓지 않는 강한 생활력이 있습니다. 60일주중에 가장 존재감이 약한데, 티가 나지도 않고 모가 나지도 않습니다. 남에게 튀지 않지만 혼자서는 즐겁고 유복한 여유를 부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남의 눈치보지 않고, 남이 뭐라하든 신경쓰지 않고 자기만의 행복철학을 가지고, 혹은 종교적 신앙심으로 돈이나 건강에 구애되지 않고 자족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체질적으로 건강이 약할..
계사일주 계사일주는 일지 '정재', 십이운성 '태', '천을귀인'에 해당합니다. 지장간에 '정관', '정인', '정재'로 일지를 포함하여 正(정)에 해당하는 글자의 기운이 강합니다. 한마디로 정도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한데, 자신의 원칙에 따라 움직이며, 말수가 많지 않지만 조직내에서 평가가 높습니다. 재물운, 배우자운이 대체로 순조롭습니다. 고위공직자나, 공무원, 행정가 중에 많고, 사회적으로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일주중에 하나입니다. 자신과 타인에게 엄격하고 겉으로는 껄렁해 보일 수 있지만 엄격하게 자기 룰을 지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지 '사화'는 강한 불로, 활동성이 강하고 출세에 대한 욕구가 강한 성향이 있습니다. 출세를 위해 타향을 떠돌아 다니는 일주로 불렀습니다. 계사일주는 부드러운 듯 하지만 가시..
계묘일주 계묘일주는 일지 '식신', 십이운성 '장생', '천을귀인', '문창귀인', '학당귀인'에 해당합니다. 일주자체가 복이 많은 일주로 특히 인복이 많습니다. 항상 주변에 자신을 도와주고 이끌어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반면 자기 혼자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떨어집니다. 투쟁심과 의지가 약하고 겉으로는 강한척 하지만 속으로는 여리고, 더불어 사는 삶을 중요시 합니다. 인정이 많고, 온화하고 무난한 성격으로 착하고 다정다감 합니다. 대인관계에서도 평판이 무난합니다. 다재다능한 편이지만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고, 자신감이 떨어져서 자기자신에 대한 평가를 좋지 않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의지력은 강한편이고 은근한 고집으로 대인관계에서 또는 경제적으로 손실을 보기도 합니다. 계묘일주는 평생을 안락하게 ..
계축일주 계축일주는 일지 '편관', 십이운성 '관대', '백호살', '암록'에 해당합니다. 목표가 있으면 추진력과 용기가 있어서 한번 시작하면 남에게 뒤쳐지는 것을 싫어합니다. 자존심이 강하고 최고가 되려는 성향이 강해서 고통과 인내가 따르지만 끝내 성취해내는 인물이 많습니다. 시작이 더디고 성과가 늦는 편이지만 집요한, 노력과 끈질긴 집념으로 한걸음씩 다가갑니다. 기본적으로 따뜻하고 자상한 성향이 있고, 자기를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지만, 속으로는 인정받는 것을 좋아하고, 대단한 추진력과 불굴의 용기가 있습니다. 일지편관과 백호살로 인생에 굴곡을 피할 수 없습니다. 추운겨울 언 땅위에 흐르는 냇물이기 때문에, 봄을 기다려야 하는 인내와 기다림이 있습니다. 기다림에 대한 조바심으로 스스로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