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육친과 십신

사주명리학은 형이상적인 다른 어떤 학문 보다도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학문으로,

 

본질은 형이상학적인 학문이지만 가장 형이하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六親(육친)’과 ‘十神(십신)’은 이런 특성이 가장 많이 반영된 사주명리학의 하이라이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육친과 십신을 통해, 나 자신을 포함하여 내 주변의 가장 가까운 가족과 친척 주변인물 등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육친(六親)은 아버지, 어머니, 형제 (, 아우), 배우자, 자식을 의미합니다.

 

음양오행의 관계를 육친으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육친은 육신(六神)이라고도 합니다.

 

원국에서 일간(본원)은 ‘나’를 의미합니다. 나를 중심으로 나를 생하는 오행을 ‘어머니’라고 규정합니다.

 

이런식으로 나를 중심으로 ‘상생상극’관계를 가까운 가족과 친척 등 사람관계로 대입한 것을 육친이라고 합니다.

 

십신(十神)은 오행의 관계를 인간 삶의 10가지 구체적인 요소들로 대입한 것을 말합니다.

 

육친이 사람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라면, 십신은 돈, 명예, 학업, 직장, 일 등등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현상과 삶의 모습들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육친’과 ‘십신’이라는 용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여 쓰기도 합니다.

 

십신은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크게는 5가지로 구분하고, 세부적으로 10개로 나누어집니다.

 

예를 들어 일간이 土(토)일 경우 다음과 같이 됩니다. 

 

만일 일간이 (화)라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이렇게 오행의 상생상극에 따라 일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십신이 정해지게 됩니다. 

 

이때 일간과 음양이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모두 10개의 십신으로 구분됩니다.

 

(1) 비견 : 일간과 오행이 같으면서,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 

 

(2) 겁재 : 일간과 오행이 같으면서, 일간과 음양이 다른 오행. 

 

(3) 식신 : 일간이 생을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

 

(4) 상관 : 일간이 생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오행.

 

(5) 편재 : 일간이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

 

(6) 정재 : 일간이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오행.

 

(7) 편관 : 일간을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

 

(8) 정관 : 일간을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오행.

 

(9) 편인 : 일간을 생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 

 

(10) 정인 : 일간을 생을 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다른 오행. 

 

만일 일간이 土(기토)라면, 같은 오행이면서 음양이 같은  土(기토)는 비견, 음양이 다른 (무토)는 겁재가 됩니다.

 

지지에서는 같은오행이면서 음양이 같은 土(축토), 土(미토)가 비견이 되고, 음양이 다른 土(진토) ,土(술토) 는 겁재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일간이 생을 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으면 식신, 음양이 다르면 상관이 됩니다.

 

천간 金(신금)은 식신, 金(경금)은 상관, 지지 金(유금)은 식신, 지지 金(신금)은 상관이 됩니다. 

 

일간이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으면 편재, 음양이 다르면 정재가 됩니다. 

 

천간 水(계수)는 편재, 천간 水(임수)는 정재, 지지 水(자수)는 편재, 水(해수)는 정재가 됩니다.

 

 

일간을 극을 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으면 편관, 음양이 다르면 정관이 됩니다.

 

천간 木(을목)은 편관, 천간 (갑목)은 정관, 지지 (묘목)은 편관, (인목)은 정관이 됩니다.

 

끝으로 일간을 생을 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같으면 편인, 음양이 다르면 정인이 됩니다.

 

천간 (정화)는 편인, 천간 (병화)는 정인, 지지 (오화)는 편인, (사화)는 정인이 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견  (0) 2021.02.26
비겁 ( feat. 무비겁, 군겁쟁재)  (3) 2021.02.24
쟁합, 쟁충, 합충  (0) 2021.02.19
  (0) 2021.02.19
  (0)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