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절기 - 세번째 계절 가을 (8월, 9월, 10월)

입추(立秋) : 양력 8 7일 또는 8.

입추 : 출처 네이버이미지

 

8월은 신()월입니다. 이때부터는 가을의 시작입니다.

 

여전히 무덥지만 밤에는 시원한 바람이 불기 시작합니다.

 

곡식이 여무는 시기로 이 때에 날씨에 따라 풍년과 흉년이 나눠지고, 이때부터 가을을 준비하게 됩니다.

 

동물로는 신()은 원숭이 인데 원숭이라서 재주가 많고 활동적이고 명랑하다고 합니다. 

 

이때는 농사가 한참 바쁜 5월에 비해 매우 한가로울 때 입니다.

 

()이 봄, 여름의 시작이라면, ()은 가을, 겨울의 시작입니다. 성장을 마치고 결실을 맺을 때 입니다.

 

()이라는 글자는 이처럼 결실을 맺으려는 기운으로 운명을 개척하려는 의지가 강합니다.

 

양력 8 23일 또는 24일일 경 8월의 두번째 절기 처서(處暑)가 있습니다. 

 

처서는 신()월의 절정으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느껴지고 모기의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가을의 기운이 느껴집니다.

 

역시 처서기간의 날씨에 따라 풍작이 결정되는데, ()이라는 글자는 권위적이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의 날씨에 따라 일년 흉작이 결정되는 만큼 계절의 권위가 느껴지는 글자입니다. 

 

 

백로(白露) : 양력 9 7일 또는 8.

백로 : 출처 네이버이미지

9월은 유()월입니다. 흰 이슬이라는 뜻의 백로는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힌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때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천고마비의 계절로 곡식이 다 익어서 풍요로울 때 입니다.

 

()라는 글자는 술, 연애, 노는 것을 좋아하고 감성이 있다고 합니다.

 

계절을 살펴보면 이때는 풍요로울 때라 마음은 풍요롭고, 만물이 결실을 맺는 시기라 신()과 마찬가지로 완벽을 추구하는 완벽주의 성향이 있습니다.

 

()이 결실을 맺으려는 활동을 의미한다면, ()는 결실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양력 9 22일 또는 23일경 9월의 두번째 절기인 추분(秋分)에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월의 절정입니다.

 

 

한로(寒露) : 양력 10 8일 또는 9.

한로 : 출처 네이버이미지

10월은 술()월입니다.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때라는 의미로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전의 시기입니다.

 

한창 추수하기 바쁜 계절로 아름다운 단풍이 짙어지는 시기입니다.

 

동물로는 개라서 충성심이 강하고, 부끄러움이 없고, 창고직이나 관리직처럼 지키는 것에 재능이 있다고 합니다.

 

양력 10 23일 또는 24일경 10월의 두번째 절기 상강(霜降)은 서리가 내린다는 뜻입니다.

 

상강에는 날씨는 쾌정하고 밤의 기온도 매우 내려가는 때입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지역에 따라 첫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월의 절정인데 추수를 다 끝내고 공정하게 분배하고 모든 일을 마쳐서 만물이 쇠락하기 시작하여 쓸쓸하고 허망한 때 입니다.

 

()이라는 글자는 공정하고 균형을 유지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판단해야 했는데, 그래서 비로소 절기를 판단할 줄 아는 사람을 일컬어 ‘철이 들었다’라고 했습니다. 이것이 '철이 들었다'의 유래입니다. 

 

이렇게 8(), 9(), 10()이 가을()입니다. , , 戌 (신,유,술) 이라는 세 글자는 가을의 기운이고 서로 이어져서 합을 이룹니다.(방합) 합이기 때문에 서로 친화하는 힘이 있습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