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음양오행의 기초적 특성

지난시간에는 음양오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음양과 목, 화, 토, 금, 수 오행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사주명리학이라는 학문은 상징과 비유, 유추를 통해 글자라는 기호를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다양한 사물과 연관짓고 다양한 현상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훈련을 통해 자연의 이치를 이해하고 인간의 삶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접근하는 관점에서 이야기를 이어 나가겠습니다.  

 

음양의 기본적 특징

가장먼저 음은 어두움을 상징하고, 양은 빛을 상징합니다. 음이 있으므로, 양이 있듯이, 어둠이 있기 때문에 빛이 있습니다. 

 

음은 밤을 상징하고, 양은 낮을 상징합니다. 음은 차가움을 상징하고, 양은 뜨거움을 상징합니다.

 

차가운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고, 뜨거운 기운은 하늘로 올라갑니다. 따라서 음은 땅을 상징하고, 양은 하늘을 상징합니다.

 

음은 차가운 성질로 인해 안으로 수축하고 수렴하는 힘을 상징하고, 양은 밖으로 확장하고 발산하는 힘을 상징합니다. 

 

음은 여성을 상징하고, 양은 남성을 상징합니다. 음은 어머니를 상징하고, 양은 아버지를 상징합니다. 

 

시원하고 추운계절인 가을,겨울은 음을 상징하고, 따뜻하고 더운 계절은 양을 상징합니다. 

 

음은 물이고, 양은 불입니다. 음은 어머니이고, 양은 아버지 입니다. 목,화,토,금,수 오행에서 따뜻한 성질의 목,화는 양의 기운이고 차가운 성질의 금,수는 음의 기운입니다.

 

음양의 기본적인 성질로 인해 사람의 특성도 음양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음은 내향적이고, 소극적이며, 안정적이고, 사색적이고, 수동적이고, 부드럽고, 직관적이고 자율적입니다. 

 

양은 외향적이고, 적극적이며, 모험적이고, 충동적이며, 능동적이고, 강하고, 감각적이고, 체계적입니다. 

 



여름
정신 밝음 하늘 남자
()
오전 서양 확장

가을
겨울
육체 어둠 여자
()
오후 동양 아래 수축

 

외향적 적극적 모험적 충동적 능동적 강함 감각 체계적
내향적 소극적 안정적 사색적 수동적 부드러움 직관 자율적

 

목 (木) 

목은 말 그대로 나무 입니다. 사주명리학은 지구를 중심으로 생명을 중심으로 생각 합니다. 생명 중에서도 특히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합니다.

 

지구에서 나무는 생명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합니다. 나무가 없으면 생명이 살 수 없습니다. ‘목’을 설명할 때는 음양으로는 양이고 따뜻한 성질입니다. 

 

나무가 자라는 환경을 생각해보면 따뜻한 곳에서 나무가 잘 자라고 나무를 태우면 불이 타오릅니다.

 

나무와 관련된 모든 것은 '목' 입니다. 목공소, 목재업, 책을 다루는 출판사, 책의 내용을 가르치는 교육자, 책으로 만든 법전을 가진 재판관등등은 모두 목과 관련된 직업입니다.

 

나무로 만든 탁자, 가구, 나무로 만든 책상이 많고, 나무로 만든 책을 보는 독서실, 학교등등도 모두 목과 관련이 깊습니다. 

 

목은 따뜻함을 상징하는데 계절로는 '봄'에 해당합니다. '화'는 여름, '금'은 가을, '수'는 겨울입니다. 

 

계절로 치면 봄이지만 하루로 따지면 '아침'에 해당합니다. 방위로는 해가 뜨는 동쪽방향을 상징합니다.

 

지지난 시간에 살펴본 하락,이수에서 동쪽방향에 해당하는 숫자는 '3과 8'이므로 목에 해당하는 숫자는 '3과 8' 입니다. 

 

색은 나무의 색깔인 초록색을 상징합니다. 

 

화(火)

화는 불입니다.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에서 '불'도 없어서는 안됩니다. 불이 의미하는 대표적인 예는 태양입니다.

 

태양이 없으면 생명이 살 수 없고, 불에서 나오는 빛이 없으면 만물이 성장할 수 없습니다.

 

음양으로는 양이고 성질은 뜨겁습니다. 빛이나 열기와 관련된 것은 모두 ‘화’입니다. 불은 타오를 때 붉은 색을 나타내므로 빨간색은 ‘화’입니다.

 

컴퓨터가 작동할 때 열이나고 모니터에서는 빛이 나므로 컴퓨터는 ‘화’ 입니다. 조명과 관련된 것 모두 ‘화’입니다. 이런식으로 모든 사물과 현상을 연관지어 생각합니다.

 

불로 요리를 하는 요식업, 화려한 조명아래에서 춤을 추는 무용가,예술가등은 모두 '화'와 관련된 직업입니다.

 

계절은 뜨거운 계절 '여름'을 상징하고, 하루중에는 한낮을 상징합니다. 방위로는 뜨거운 지역인 남쪽을 의미합니다.

 

남쪽에 해당하는 숫자는 2와 7입니다.  색은 붉은 색깔을 의미합니다. 

 

토(土)

토는 흙입니다. 지구의 표면은 땅과 물로 되어있는데 지구를 구성하는 요소중의 하나로 흙은 땅을 이루고 산을 이룹니다. 음양으로는 중간이고 성질 또한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습니다.

 

토의 대표적인 성질은 안정인데 하루종일 배를 타다가 땅에 발을 내딛으면 안정감이 느껴집니다. 흙으로 지어진 집도 ‘토’입니다.

 

건축과 관련된 모든 일은 ‘토’입니다. 흙과 관련된 모든 것은 ‘토’입니다. 돈은 단단한 금속으로 ‘금’이고 지폐는 종이로 만들어 ‘목’에 해당하지만, 재물은 토의 성질입니다. 땅이 재물을 의미해서 토는 부동산 재물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오행중 재물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토’입니다. 다른 오행도 부분적으로 재물의 의미가 있지만 ‘토'가 기본적으로 재물을 상징합니다. 

 

'토'는 계절로는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를 의미합니다. 방위로는 가운데 중간을 의미하고, 색깔은 황색입니다. 

 

하루중의 시간대도 온도가 변하는 중간에 해당합니다. 아침에서 점심으로 넘어가는 중간, 점심에서 저녁으로 넘어가는 중간, 저녁에서 밤으로 넘어가는 중간, 밤에서 아침으로 넘어가는 중간입니다. 

 

숫자는 가운데 방위에 해당하는 '5와 10'이됩니다. 온도는 주변에 따라 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주변이 차가우면 토의 온도도 차갑도, 주변이 따뜻하면 토의 온도도 따뜻해집니다. 

 

온도는 변하지만 성질은 잘 변하지 않습니다. 토는 변화가 없는 안정감을 의미합니다. 

 

금 (金)

금은 바위 입니다. 또는 쇠나 금속을 의미합니다. 차갑고 단단한 성질 입니다. 음양으로는 음이고 성질은 차갑습니다.

 

물보다는 덜 차갑고 시원하다고 할 정도 입니다. 지구에서 바위는 빼놓을 수 없는 환경입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오행으로 구분하자면 단단한 것은 모두 금으로 분류합니다.

 

씨앗, 열매도 단단하므로 ‘금’입니다. 자동차, 열차, 비행기 모두 ‘금’입니다. 칼, 무기, 농기구등등도 모두 금입니다. 

 

계절은 가을을 상징하고, 하루중에서는 해가져무는 저녁시간입니다. 방위는 '서쪽'입니다. 서쪽에 해당하는 숫자는 '4 와 9' 입니다. 

 

색깔은 바위의 색인 흰색, 백색을 상징하고, 온도는 시원하고 서늘합니다. 

 

쇠를 사용하고, 돌을 사용하는 직업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외과의사, 석공, 열차,비행기 조종사 등등입니다.

 

수(水)

수는 물입니. 음양으로는 음이고 성질은 차갑습니다. 물과 관련된 것은 모두 ‘수’입니다. 바다, , 냇물, , 눈물, 이슬, 고정되지 않고 흐르는 것은 모두 물입니다.

 

정보, 교류등도 ‘수’입니다. 감수성도 ‘수’입니다. 비오는 날 감수성이 커져 감성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수’의 영향입니다.

 

예술성을 말할 때 ‘화’를 말하기도 하고 ‘수’를 말하기도 하는데 ‘화’의 예술성과 감성은 모닥불앞에서 느껴지는 감성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고, ‘수’의 예술성과 감성은 비오는 날 느껴지는 감성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와 관련된 직업, 물장사, 목욕탕, 수영, 생수등등, 운송, 운반등등 모두 수와 관련된 직업입니다. 

 

계절은 '겨울'을 상징하고, 하루중에서는 '밤'에 해당합니다. 방위로는 추운 지역에 해당하는 '북쪽'이고, 북쪽의 숫자는 '1과 6'입니다.

 

차가움을 상징하고 물의 색깔인 검은색을 상징합니다. 물은 빛이 없으면 검은색이라서 검은색이라고 봅니다.

 

구분 () () (중간) () ()
계절 여름 환절기 가을 겨울
시간 아침 중간 저녁
방향 중앙
색상 초록색 빨간색 황색 백색 검은색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숫자 3. 8 2. 7 5. 10 4. 9 1. 6
오음 , ,,, , ,, ,,
온도 따뜻함 뜨거움 변화함 서늘함 차가움

 

오행을 성질로 이해 하게되면 사람의 성격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의 성격, 자연의 현상을 모두 음양오행으로 설명하는 것이 사주명리학입니다. 

 

* [표]에서 '오음'은 훈민정음을 만들 때 소리를 오행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중국음악에서 오성으로 사용되던 '궁상각치우'의 소리 오성을 오행으로 배치하여 구분한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성명학'분야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정도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 맛은 열매가 처음에는 신맛이 나다가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순으로 변한다고 간단히 이해할 수 있는데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가지 맛의 감각을 오행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생극제화  (0) 2020.11.30
오행의 상생상극  (0) 2020.11.27
음양오행  (0) 2020.11.24
사주명리학의 역사와 발전  (0) 2020.11.24
들어가는 글  (0) 2020.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