怨嗔殺(원진살)은 합, 형, 충, 파, 해를 설명하면서 같은 맥락에서 설명할 때가 있을 정도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살중의 하나입니다.
의미는 싫어함, 권태, 안보면 보고싶고 만나면 미워한다는 뜻이 있는데, 연애 때는 좋지만 결혼하면 냉전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원진은 일지를 중심으로 보며 일지와 서로 붙어있어야 하며, 떨어져 있으면 작용력이 약해집니다.
해석은 다음과 같이 십신을 중심으로 해석을 합니다.
비겁이 원진이면, 형제나 동료 사이가 좋지 않고,
식상이 원진이면, 불평불만이 많은 성향, 오해로 인해 구설이 많은 성향
재성이 원진이면, 돈으로 인한 불화, 여자로 인한 불화 (남자의 경우)
관성이 원진이면, 직장에서의 불화, 송사문제
인성이 원진이면 학업의 중단, 계약의 파기 등 입니다.
원진은 글자 순서대로 6번째 조합 으로 충과 합에서 한 칸씩 벗어나 있습니다.
충을 하지도 못하고, 합을 하지도 못하는 어정쩡한 관계로 불편함이 묻어 있습니다.
형, 충, 파에 비해 눈에 띄는 극적인 부분은 덜한 편이지만 글자의 작용이 뚜렷하지 못하고 반감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진의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