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화, 토, 금, 수 오행을 또 다시 음양으로 세분하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가 됩니다.
이렇게 오행을 다시 음양으로 구분하여 10개의 글자가 만들어 지는데, 이를 십천간(十天干) 이라고 합니다.
십천간이 만들어진 원리는 다양한 하늘의 현상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甲(갑)
甲은 번개를 상징합니다.
乙(을)
乙은 바람을 상징합니다.
丙(병)
丙은 태양을 상징합니다.
丁(정)
丁은 별을 상징합니다.
戊(무)
戊는 안개를 상징합니다.
己(기)
己는 구름을 상징합니다.
庚(경)
庚은 달을 상징합니다.
辛(신)
辛은 서리를 상징합니다.
壬(임)
壬은 이슬을 상징합니다.
癸(계)
癸는 비를 상징합니다.
변화무쌍하고 다양한 하늘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십천간'입니다. 사주를 해석할 때 십천간이 상징하는 자연현상을 토대로 사주를 해석하기도 합니다.
오행의 작용은 하늘의 '십천간' 으로 구분되고, 하늘의 '십천간'의 작용은 다시 땅으로 내려와 12가지 '지지'가 만들어 집니다. 이를 '십이지지(十二地支)'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