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이라는 것은 두 개 이상의 글자가 서로 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으로, 천간합과 지지합이 있습니다.
천간과 지지는 모두 음 또는 양으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음과 양은 본래 하나에서 나온 것이고, 음양으로 분리 되었던 기운이 다시 합쳐지려는 성질 때문에 합이 일어납니다.
분리되는 것은 발산하는 양의 기운이고, 합쳐지려는 것은 수렴하는 음의 기운입니다.
하나에서 분리가 되었기 때문에 하나로 합쳐지려는 성질을 띠게 됩니다.
합쳐질 때도 원리와 규칙에 따라서 합쳐지게 됩니다.
천간은 다음과 같이 2등분하면 甲(갑)부터 戊(무)까지는 木(목),火(화) 양의 기운, 己(기)부터 癸(계)까지는 金(금),水(수) 음의 기운이 됩니다.
두 개로 구분한 왼쪽과 오른쪽을 순서대로 하나씩 짝을 지으면 자연스럽게 양,음 또는 음,양 이 서로 짝을 짓습니다.
이렇게 甲己合(갑기합), 乙庚合(을경합), 丙辛合(병신합), 丁壬合(정임합), 戊癸合(무계합)이 천간합 입니다.
합이라는 것이 두 개의 기운(에너지)이 하나로 합하는 것인데, 합했을 때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본래의 성질이 변하는 경우가 생겨납니다.
본래의 기운이 완전하게 변하게 되는 경우를 '변화했다' 하여 화(化)라고 합니다.
갑목과 기토가 만나 합하여 토가 됩니다. 甲己合化土(갑기합화토) 입니다. 또는 줄여서 (갑기합토)
을목과 경금이 만나 합하여 금이 됩니다. 乙庚合化金(을경합화금) 입니다. 또는 줄여서 (을경합금)
병화와 신금이 만나 합하여 수가 됩니다. 丙辛合化水(병신합화수) 입니다. 또는 줄여서 (병신합수)
정화와 임수가 만나 합하여 목이 됩니다. 丁壬合化木(정임합화목) 입니다. 또는 줄여서 (정임합목)
무토와 계수가 만나 합하여 화가 됩니다. 戊癸合化火(무계합화화) 입니다. 또는 줄여서 (무계합화)
甲己(갑기) 합을 中正之合(중정지합)이라 합니다. 만사가 유순하다는 뜻으로 마음이 넓고, 세상과 다투지 않습니다. (토의 성질이 나타납니다)
乙庚(을경) 합을 仁義之合(인의지합)이라 합니다. 강건, 과감, 용기를 뜻합니다. (금의 성질이 나타납니다)
丙辛(병신) 합을 威勢之合(위세지합)이라 합니다. 편협하고 색정을 좋아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화가 사라지고 금의 성질이 사라지면서 수의 성질이 나타납니다)
丁壬(정임) 합을 淫匿之合(음익지합) 이라 합니다. 분위기에 잘 휩쓸리고 색욕을 좋아합니다. (정화의 취약성이 나타나고, 수의 기운이 강해집니다)
戊癸(무계) 합을 無情之合(무정지합)이라 합니다. 정이 없고 냉정합니다. 색욕에 빠지기 쉽습니다. (수의 기운이 사라지면서 정이 없어집니다. 수의 합으로 색욕에 빠지기 쉽습니다.)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합 첫번째 - 방합 (0) | 2021.01.06 |
---|---|
천간충 (0) | 2021.01.05 |
대운과 대운수 (0) | 2021.01.03 |
사주명리학에서 시간기준 (feat. 썸머타임) (0) | 2021.01.02 |
생지, 왕지, 고지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