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대운과 대운수

대운이라는 것은 10년 단위의 운을 말합니다. 1년 단위의 운을 '연운'이라고 하고, 1달 단위의 운을 '월운'이라 합니다. 

하루운은 '일운' 또는 '일진'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다른 표현으로 10년 단위의 운을 '대운'이라고 하고, 나머지 1년, 월 등을 '연세운', '월세운' 이라고 합니다. 

 

어플 만세력 예시

오늘 태어난 아이의 만세력을 어플에서 뽑으면 위와 같습니다. 

 

이때 10년 단위 '대운'위에 '대운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대운수'라는 것은 대운이 바뀌는 '숫자' 즉 대운이 몇살 단위로 변하는 것인지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위의 아이는 대운수가 '1'입니다. 즉 11세, 21세, 31세 순서대로 1단위로 대운이 변하게 됩니다. 

 

대운수가 '9'라면 19세, 29세, 39세 순으로 대운이 변하게 됩니다. 대운수는 어플이나 PC에서 자동으로 계산되지만 

 

대운수를 다음과 같이 수작업으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음양기준으로 남자는 양, 여자는 음입니다.

 

대운은 '연간'을 살펴 '월주'를 기준으로 정하는데, 남자가 '연간'이 양으로 시작하면 순행하고, 음으로 시작하면 역행합니다.

 

여자는 연간이 음으로 시작하면 순행하고, 양으로 시작하면 역행합니다.

 

위의 예에서 올해가 ‘庚子(경자)’년인데 남자이므로 연간’庚’은 양이고 따라서 대운은 순행합니다. 陽男(양남), 陰女(음녀)는 순행하고, 陰男(음남), 陽女(양녀)는 역행합니다.

 

순행과 역행이라는 말은 육십갑자의 순서가 甲子(갑자), 乙丑(을축), 丙寅(병인)… 순이면 순행이고, 丙寅(병인), 乙丑(을축), 甲子(갑자), 癸亥(계해)…순으로 가면 역행입니다.

 

이 아이의 경우 월주가 戊子(무자)입니다. 陽男(양남)이므로 월주 戊子(무자)를 기준으로 순행하므로 戊子(무자) 다음 己丑(기축), 庚寅(경인), 辛卯(신묘), 壬辰(임진)…순으로 대운이 흘러 갑니다.

 

‘대운수’는 11, 21 ,31, 41…으로 흘러갑니다. 

 

대운수를 정하는 방법은 먼저 순행인지 역행인지를 구분한 후에, 순행이면 자신의 생일 다음날부터 다음 절입일 (달이 바뀌는 절기일) 까지 숫자를 세어 3으로 나눕니다.

 

 

2020년 5월 20일 미시생 남자아이 사주 

 

예를 들면 위 예시의 경우 생일이 520일이고 순행하므로 생일 다음날부터 다음 절입일까지 숫자를 셉니다.

 

다음 절입일은 6 5芒種(망종)이고 숫자를 세면 16일이 됩니다. 이것을 3으로 나누면 5가 몫이 되고 나머지 1이 남습니다.

 

몫을 취하면 대운수는 5가 되어 5, 15, 25, 35…순으로 흘러갑니다. 나머지 1은 버립니다. 만일 숫자를 세어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2가 남으면 몫에 하나를 더해줍니다.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순행일 경우 생일 다음날부터 다음 절입일까지 숫자를 센다.

 

2. 나온 숫자를 3으로 나누어 몫을 취하되, 나머지가 1이면 버리고 2이면 몫에서 하나를 더한다. 나머지가 0이면 몫만 취한다.

 

3. 역행일 경우 생일 전일부터 지난 절입일까지 숫자를 센다. 나온 숫자를 3으로 나누어 몫을 취하되, 나머지가 1이면 버리고, 2는 몫에 하나를 더한다. 나머지가 0이면 몫만 취한다.

 

예시로 양력 1986 3 10일생 오후 5시의 남자의 대운을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주팔자는 다음과 같이 정해지는데,

 

남자인데 연간이 ‘丙’이므로 陽男(양남)순행 합니다. 월주가 辛卯(신묘)월 이므로 대운은 辛卯(신묘), 다음 壬辰(임진), 癸巳(계사), 甲午(갑오), 乙未(을미)’.. 순으로 흘러갑니다.

 

대운수는 순행이므로 생일 다음날 (311) 부터 다음 절입일까지 숫자를 셉니다.

 

다음 절입일은 45일 ‘청명’이고 청명까지의 날짜를 세면 개수는 26입니다.

 

26 3으로 나누면 몫은 8이고 나머지가 2가 남습니다.

 

나머지가 2가 되므로 몫에 하나를 더해 몫은 9가 되고 9가 대운수가 됩니다.

 

따라서 甲辰(갑진) 9, 癸巳(계사) 19, 甲午(갑오)29, 乙未(을미) 39세 순서로 대운이 흘러가게 됩니다.

 

이때 나이는 일반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태어난 해에 1세가 됩니다.

 

예시를 하나 더 들어서 양력 1964 28일생 오후5시의 여자 대운을 뽑아보겠습니다.

 

사주를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자인데 연간이 갑목으로 양이되니 陽女(양녀)역행합니다.

 

월주가 丙寅(병인)이므로 대운은 丙寅(병인) 다음 역순으로 乙丑(을축), 甲子(갑자), 癸亥(계해), 壬戌(임술)… 순으로 흘러갑니다. 

 

대운수를 계산하면 태어난 날이 28일이므로 생일 전날 27일부터 바로 전 절입일 25일'입춘'까지 숫자를 세면 3이 나옵니다.

 

3 3으로 나누면 몫은 1이되고 나머지는 0 이되어 몫을 취해서 대운수는 1이 됩니다.

 

따라서 乙丑(을축) 1, 甲子(갑자)11, 癸亥(계해) 21세…순이 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충  (0) 2021.01.05
천간합  (0) 2021.01.04
사주명리학에서 시간기준 (feat. 썸머타임)  (0) 2021.01.02
생지, 왕지, 고지  (0) 2021.01.02
사,오,해,자 체용과 지장간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