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 사주명리학

천간충

천간에 합이 있다면 천간충도 있습니다. 천간충(天干沖)이란 천간의 기운이 서로 조화롭지 못하고, 충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천간합과 마찬가지로 천간을 다음과 같이 2등분하면 甲(갑)부터 戊(무)까지는 木(목),火(화) 양의 기운, 己(기)부터 癸(계)까지는 金(금),水(수) 음의 기운이 됩니다. 

 

이때 음양이 다른 6번째 조합은 합이 되지만, 음양이 같은 7번째 조합은 충이 됩니다. 7번째에 해당되어 칠살(七殺)이라고도 합니다.

 

 

천간충은 다음과 같습니다. 

 

甲庚沖(갑경충)

 

乙辛沖(을신충)

 

丙壬沖(병임충)

 

丁癸沖(정계충)

 

戊甲沖(무갑충) 또는 甲戊沖(갑무충)

 

己乙沖(기을충) 또는 乙己沖(을기충)

 

庚丙沖(경병충) 또는 丙庚沖(병경충)

 

辛丁沖(신정충) 또는 丁辛沖(정신충)

 

壬戊沖(임무충) 또는 戊壬沖(무임충)

 

癸己沖(계기충) 또는 己癸沖(기계충)

 

 

위와같이 10개의 천간충이 있습니다. 이때 己土(기토)戊土(무토)는 토의 성질상 중간 포용의 의미로 沖(충)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충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판단합니다. 합은 합치다의 의미로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합이 언제나 좋고, 충이 언제나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일반적인 해석이고 각각의 사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천간충은 지지충에 비해 충의 작용력이 약하다고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천간보다 지지의 작용력이 더 크다는 일반적인 이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7번째 조합으로 인해 충을 칠살(七殺)이라는 이름으로 예전부터 널리 사용되었는데, '칠살이 들어와 매우 흉하다' 또는 '급사한다' 등으로 매우 부정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하나만 보고 판단하는 단편적인 해석에 불과합니다.

 

사주의 해석은 종합적인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해석하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나만 보고 단편적으로 해석하면 틀리는 경우가 많으니 단편해석을 유의 해야 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합 두번째 - 삼합  (0) 2021.01.07
지지합 첫번째 - 방합  (0) 2021.01.06
천간합  (0) 2021.01.04
대운과 대운수  (0) 2021.01.03
사주명리학에서 시간기준 (feat. 썸머타임)  (0) 2021.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