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은 일간이 생을 하고 일간과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합니다.

일간이 음양이 같은 오행을 생하므로, 식신은 상관에 비해 안정적입니다.
식신의 기운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반면, 상관은 그렇지 않습니다.
먹을 것으로 비유하면 식신은 양은 적지만 품질이 높은 음식이라 만족도가 높고,
상관은 품질은 조금 떨어지지만 양이 많아 너무 먹은 느낌입니다.
식신은 자신의 기술과 재능을 의미하고, 자기 밥그릇을 의미합니다.
먹을귀신이라는 말에 식복이 풍족함을 알 수 있습니다.
식신의 육친의 의미는 남자의 경우 장모, 사위, 손자, 할머니이고
여자의 경우에는 자식(딸)과 손자, 할머니가 됩니다. 남녀모두 손아래 사람. 부하직원을 의미합니다.
식신의 의미와 특징
1. 자식(여자의 경우), 장모(남자의 경우), 손자, 손녀,
2. 일, 직장, 언어, 말, 음식, 의복, 연애, 즐거움, 자궁, 유방, 신규사업,
3. 식신은 가재, 신체, 식성이 풍부함을 말한다.
4. 식신이 많으면 성격이 우유부단하고, 대사업을 이루기 힘들고, 심미적인 면이 있어 예술을 좋아하는 반면, 색정이 강합니다.
5. 비견을 만나면 이 같은 특성은 심화되고 편인을 만나면 약화됩니다.
6. 사주에 식신이 많으면 자식 복이 없고, 여자는 호색으로 과부가 되거나 첩 노릇을 한다 합니다.
7. 식신이 많고, 편관이 있으면 신체가 허약합니다.
(일반론적인 이야기 이므로 대체적으로 그런 경향이 있지만, 개별적 사주의 특성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현대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성 (feat. 무재사주, 재다신약) (0) | 2021.03.12 |
---|---|
상관 (0) | 2021.03.05 |
식상 (feat. 무식상) (0) | 2021.03.05 |
겁재 (0) | 2021.02.26 |
비견 (0) | 2021.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