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을 기준으로 일간이 극하는 오행을 말합니다.
일간이 木(목)일 때 나머지 다른 글자 중에 土(토)가 재성입니다.
일간이 극하면서 음양이 같으면 編財(편재), 일간이 극하면서 음양이 다르면 정재正財(정재)입니다.
일간이 火(화)일 때 나머지 다른 글자 중에 金(금)이 재성 입니다.
일간이 土(토)일 때 나머지 다른 글자 중에 水(수)가 재성 입니다.
일간이 金(금)일 때 나머지 다른 글자 중에 木(목)이 재성 입니다.
일간이 水(수)일 때 나머지 다른 글자 중에 火(화)가 재성 입니다.
*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으로 만든 사주 입니다.
재성은 간단히 말해서 물질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현실감각을 의미합니다.
식상이 일의 시작과 과정을 의미한다면, 재성은 결과를 의미합니다.
원국에 식상이 강하지만 재성이 없으면 시작은 하지만 결과가 없는 유시무종이 되고, 식상이 없고 재성만 있으면 결과만 원해서 어떻게든 성과만 내려는 성과주의로 나타납니다.
재성은 물질을 관리하고 다스리는 능력으로 재성이 좋게 발달한 경우에는 재물 복이 많아 재물이 풍부합니다.
지금과 같은 물질만능주의 시대, 자본주의 시대에서는 재성이 가장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성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때는 인생이 돈 때문에 피곤하게 됩니다.
재성은 극을 하는 기운이기 때문에 자신의 힘이 많이 들어갑니다.
재성은 물질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도 적극적입니다. 사람들 관계에서도 사교적이고 정도 많습니다.
재성이 너무 많아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공부를 의미하는 인성과는 상극이라, 학마가 따르고 부화뇌동하기 쉽습니다.
바람기가 있고, 무기력하게 됩니다. 자존심은 약하고, 욕심은 많아집니다.
의존적이고 남자의 경우 공처가가 되거나 바람둥이가 됩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비가정적이며 정조관념이 희박하고 음란하며, 일탈하는 기운을 갖게 되고, 잔소리가 많습니다.
성격이 조급하며, 원칙이 없는 지출을 합니다.
재성이 없는 無財四柱(무재사주)이거나, 너무 약하면 돈에 대한 집착과 욕심이 크고, 눈치가 없고 비현실적이며 실용적이지 못합니다. 결단력과 마무리가 약합니다. 투기성이 강해지고 재물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 합니다.
재성이 너무 많은 경우를 ‘財多身弱(재다신약)’이라고 하는데, 일평생 돈 문제로 고생을 할 수 있습니다. 돈이 너무 많이 들어와도 문제가 생기고, 너무 없어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일반론적인 이야기이므로 대체적으로 그렇고, 개별사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